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콤부차 효능과 부작용

by 건백세 2023. 8. 3.

많은 연예인들이 마신다고 해서 유명해진 음료인데, 알고 보니 다이어트와 피부 미용뿐 아니라 진나라에서부터 전해지던 건강 음료로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런 콤부차의 효능과 부작용, 만드는 방법까지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콤부차가 만들어지는 과정

콤부차는 설탕을 넣은 녹차나 홍차에 유익윤을 넣어 발효시키는 음료이며 보통 두 번의 발효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1차 발효는 스코비라는 유익균을 넣어 발효시키며, 1차 발효가 끝나면 흔히 알고 있는 홍차와 맛이 비슷합니다. 스코비를 건져내고 밀폐 용기에 넣어 2차 발효를 하는데 이때 들어가는 재료에 따라 맛이나 효능이 달라집니다. 이 과정에서 탄산이 생기기 때문에 마실 때 청량감을 느낄 수 있어 탄산음료를 대체하는 건강 음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콤부차의 효능

발효 과정에서 프로바이오틱스가 생성되어 면역력 강화나 위장 건강에 도움을 주며 글루쿠론산 성분이 있어 간 해독 작용을 해줍니다. 유산균이 들어있어 장 건강에 좋으며 이 외에도 피부 미용, 항균 작용, 심장병 위험 감소, 항암 효과 등의 효능이 있으며 미국의 소규모 임상 실험 결과 제2형 당뇨병 환자의 공복 혈당 수치를 낮추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고 밝혀졌습니다. 위약 음료와 비교했을 때 시중에 판매되는 콤부차를 마셨을 때 평균 공복 혈당 수치가 조금 더 낮아졌다고 합니다.

 


콤부차의 효능과 부작용
콤부차의 효능과 부작용

 

콤부차의 부작용

발효 과정에서 알코올이 생성되므로 어린이나 임산부는 섭취를 피해야 하며 산성이 있기 때문에 원액을 물에 희석해서 식후에 먹는 것이 좋습니다. 위가 약한 사람은 주의해서 섭취해야 하며 산성으로 인해 치아가 침식될 수 있으니 콤부차를 마신 뒤에는 입을 헹구어 내는 것이 좋습니다.

 

권장량이 정해져 있는 건 아니지만 산성이 있으므로 하루 3잔 이내가 좋으며 녹차나 홍차가 베이스인 만큼 평소에 카페인 섭취가 있는 사람은 조절해서 먹어야 합니다. 과다 섭취 시 가스, 메스꺼움, 구토와 같은 소화 불량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신장이나 간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황달이나 젖산과 같은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콤부차를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콤부차 만드는 방법

 

1차 발효 방법

준비물: 생수 1L, 찻잎 60g이나 홍차 녹차 티백, 설탕 70g, 스코비 1장, 사과식초 300ml 또는 스코비 원액

1. 소독한 유리병에 끓인 생수와 찻잎을 넣어 10분 미만으로 우린다. 티백 이용 시 3~4개를 진하게 우려낸다.

2. 설탕을 넣고 녹인 후 병에 식힌 차를 넣어준다.

3. 2에 스코비와 식초를 넣는다. 이때 스코비는 씻지 말고 발효액이 묻은 상태로 써야 한다.

4. 면포로 덮고 고무줄로 고정시킨다.

5. 햇빛이 안 드는 그늘에서 1주일 ~ 2주일 정도 발효시킨다.

* 혹시라도 곰팡이가 생기면 바로 폐기한다.

 

 

 

2차 발효 방법

준비물: 가향재료(찻잎, 건과일, 허브, 말린 꽃 중 선택), 1차 발효액

1. 소독한 유리병에 가향 재료를 다져서 넣어준다.

2. 1차 발효액에서 스코비를 건져낸 후 발효액만 유리병 3/5 정도로 담는다.

3. 뚜껑을 밀봉한 후 2~7일 실온에 보관하다가 냉장 보관하면서 마신다.

 


 

좋은 효능을 가득 담고 있는 콤부차이지만 결국 약이 아니라 식품임을 인지하고 먹어야 하며 건강에 좋다고 너무 많은 양을 먹지 않도록 조절하며 먹는 것이 좋습니다.

 

 

추천글

 

유산균 챙겨야 하는 이유와 고르는 방법

요즘 필수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산균 챙겨 먹는 사람들 많으시죠? 유산균이 도움이 되는 균이라는 것은 알지만, 꼭 챙겨 먹어야 하는 이유와 유산균 고르는 방법 그리고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도

health.tat-story.com

 

 

유산균 효과 복용법 부작용 총정리

건강기능식품인 유산균 챙겨드시는 분들 많으시죠? 남들이 다 먹으니까, 남들이 좋다고 하니까 그냥 드시고 계신 건 아닌가요? 알고 먹을 수 있도록 유산균의 효과와 제대로 된 복용법, 걱정되

health.tat-story.com